대학입시요강/2017 학년도 입시요강

2017학년도 대학입시 대비전략

Hyody Love 2016. 5. 10. 14:14

 

 

2017학년도 대학입시 대비전략

 

1. 2017학년도 대학입시 특징

 

2017학년도 대학입시는 2016학년도의 기본 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대학별로 부분적으로 변화가 있다. 2015학년도에 처음으로 줄어든 수시모집 규모가 다시 늘어나고 그만큼 정시모집이 줄었다. 수시모집 중에서 논술고사와 적성시험 및 특기자 전형 비중이 줄어들고 학생부 중심 전형이 확대 되었다. 학생부 중심 전형 중 학생부 종합 전형의 경우 서울 소재 대학들은 수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해졌다.

 

(1) 전체 모집인원 감소와 수시모집 비중 증가

 

2017학년도에는 전체 모집정원이 줄어들었다. 수시모집을 통하여 전체 모집정원의 69.9%를 선발하는데 전년도의 67.5% 보다 소폭 늘어나고 정시모집은 그만큼 줄었다. 대학들이 수시모집 규모를 확대한 것은 서울대를 포함하여 주요 대학들이 수시모집을 통하여 70% 이상을 선발하는데다가 우수한 수험생들 대부분이 수시모집에 복수지원하기 때문이다. 수시에 합격하면 반드시 등록을 해야 하기 때문에 수시모집은 우수한 수험생을 미리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구분

수시모집

정시모집

()

모집인원()

비율(%)

모집인원()

비율(%)

2017학년도

248,669

69.9

107,076

30.1

355,745

2016학년도

240,976

67.5

116,162

32.5

357,138

 

(2) 학생부 중심 전형 비중 증가

 

학생부 중심 전형의 비중이 전년도보다 늘어나면서 수시모집은 학생부 중심 전형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전체적으로는 학생부 교과 전형의 비중이 높지만 학생부 종합 전형은 전년도의 67,231(18.8%)에서 72,101(20.3%)으로 가장 많이 늘어났다. 2017학년도에도 수시모집에서 지방 대학들은 거의 모든 대학들이 학생부 교과 전형 위주로 선발한다. 학생부 종합 전형은 특히 서울 소재 주요 대학에서 많은 인원을 모집하는데 앞으로는 학생부 교과 관리뿐만 아니라 비교과 관리도 철저히 해야 한다. 2017학년도에도 평소 학생부 비교과 관리를 잘 해온 수험생이 유리해질 전망이다.

 

구분

전형유형

2017학년도

2016학년도

수시

학생부(교과)

141,292(39.7%)

138,054(38.7%)

학생부(종합)

72,101(20.3%)

67,231(18.8%)

정시

학생부(교과)

437(0.1%)

417(0.1%)

학생부(종합)

671(0.2%)

1,402(0.4%)

합계

214,501(60.3%)

207,104(58.0%)

 

(3) 수시는 학생부 위주, 정시는 수능 위주 선발

 

2017학년도에도 수시모집은 학생부 위주로, 정시모집은 수능 위주로 선발한다. 수시모집에서는 학생부 중심 전형, 정시모집은 수능 중심 전형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수시모집에서 학생부 중심 전형으로 213,393명을 선발하는데 학생부 교과 전형이 141,292명으로 39.7%를 차지하고, 학생부 종합 전형은 72,101명으로 20.3%를 차지한다. 정시모집에서는 수능 중심 전형으로 93,643명을 모집하는데 26.3%를 차지한다.

 

구분

전형유형

2017학년도

2016학년도

수시

학생부(교과)

141,292(39.7%)

138,054(38.7%)

학생부(종합)

72,101(20.3%)

67,231(18.8%)

논술위주

14,861(4.2%)

15,197(4.3%)

실기위주

17,942(5.0%)

17,117(4.8%)

기타

2,473(0.7%)

3,377(0.9%)

소계

248,669(69.9%)

240,976(67.5%)

정시

수능위주

93,643(26.3%)

100,762(28.2%)

실기위주

12,280(3.5%)

13,535(3.8%)

학생부(교과)

437(0.1%)

417(0.1%)

학생부(종합)

671(0.2%)

1,402(0.4%)

기타

45(0.0%)

46(0.0%)

소계

107,076(30.1%)

116,162(32.5%)

합계

355,745(100.0%)

357,138(100.0%)

 

(4) 논술고사 모집인원 감소

 

2016학년도 논술고사는 수시모집에서 28개 대학에서 15,197명을 선발하는데 2017학년도에는 28개 대학에서 14,861명을 선발한다. 2017학년도에도 전년도에 이어 대부분의 대학들이 논술고사를 통하여 선발하는 인원을 축소하였다. 고려대는 1,110명에서 1,040명으로 축소하였고, 서강대는 385명을 364명으로, 중앙대는 855명에서 836, 경북대 972명에서 914, 부산대 814명에서 798명으로 축소하였다. 논술고사를 통하여 선발하는 인원이 전체적으로는 규모가 작지만 서울 소재 주요 대학들은 논술고사를 통하여 선발하는 인원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따라서 서울 소재 대학 수시모집에 지원하고자 하는 수험생들은 논술고사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2017학년도 입시에서도 연세대와 고려대를 포함한 서울 소재 주요 대학에서 논술고사는 수시모집에서 가장 중요한 전형요소이다.

 

구분

2017학년도

2016학년도

대학 수

모집인원

대학 수

모집인원

수시

28개교

14,861

28개교

15,197

정시

합계

28개교

14,861

28개교

15,197

 

(5) 적성시험 모집인원 감소

 

적성시험을 실시하는 대학은 전년도보다 1개 대학이 줄고 모집인원도 전년도의 4,592명에서 4,562명으로 줄었다. 적성시험전형은 학생부 성적이 다소 낮더라도 적성시험이 당락을 좌우하기 때문에 주로 중위권 수험생들이 선호하는 전형이다. 적성시험전형은 지난해에 다소 줄었고 2017학년도에도 삼육대가 신설되고 2개 대학이 폐지하면서 선발인원이 감소하였다.

 

(6) 고른기회전형 모집인원 감소

 

고른기회전형의 정원 내 모집인원은 전년대비 394, 정원 외 모집인원은 전년대비 1,042명 감소하였으며 전체 모집인원은 1,436명 감소하였다.

 

구분

모집인원

2017학년도

2016학년도

정원내

15,005

15,399

정원외

24,078

25,120

합계

39,083

40,519

 

 

(7) 지역인재 특별전형 모집인원 증가

 

지역인재의 대학입학기회 확대를 위해서 2015학년도부터 시행된 지역인재 특별전형의 선발 규모가 확대되었다. 지역인재 특별전형은 주로 의학계열에서 시행하는데 지역의 우수한 수험생들이 해당 지역 의학계열에 진학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구분

대학 수

모집인원

총 모집인원 대비 비율(%)

2017학년도

81개교

10,120

2.8%

2016학년도

80개교

9,535

2.7%

 

 

2. 2017학년도 대학입시 대비 전략

 

(1) 맞춤식 전략을 세워서 준비해야 한다.

 

2017학년도에도 수험생들은 전형요소별 장단점을 잘 분석하여 본인에게 맞는 맞춤식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2학년 때까지의 학생부 성적과 수능 모의고사 성적 및 그 외 각종 비교과영역과 관련된 활동 경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어느 대학 어떤 전형에 맞는지를 잘 따져서 나에게 가장 적합한 유형을 찾아야 한다. 학생부 교과 성적과 비교과 준비가 잘 되어 있거나 논술고사와 같은 대학별고사 준비가 잘 되어 있으면 수시모집을, 수능 성적이 뛰어 나면 정시모집에 맞추어 지원전략을 세워야 한다. 그 외에도 본인에게 유리한 전형이 있다면 해당 유형에서 당락을 좌우하는 전형 요소에 대한 준비를 학기 초부터 해야 한다. 2017학년도에도 수시모집은 여전히 많은 인원을 선발하기 때문에 학기 초부터 맞춤식 전략을 세워서 준비하면 그만큼 합격 가능성이 높아진다.

 

(2) 2017학년도에도 수능이 가장 중요하다.

 

2017학년도 대학입시에서도 수능이 모든 전형요소를 통틀어 가장 중요하다. 정시모집에서는 수능 성적 비중이 절대적이고 수시모집에서도 수능 성적을 최저학력기준으로 활용하는 대학들이 대부분이다. 수시모집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지난해부터 완화되었지만 수험생 입장에서 볼 때 여전히 부담이 되는 부분이다. 일부 대학에서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3) 평소 학생부 관리를 잘 해야 한다.

 

수시모집에서는 많은 대학들이 학생부를 주요 전형요소로 활용하기 때문에 평소에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학생부 교과 전형을 통하여 선발하는 비율이 상당히 많다. 대학별로 학생부 반영 교과와 학년별 반영비율을 파악하여 학생부 관리를 전략적으로 잘 해야 한다. 학생부를 잘 받기 위한 학교 공부는 수능에도 바로 도움이 된다. 논술고사도 최근 들어 교과형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에 논술고사 준비도 학교 공부를 열심히 하는데서 시작된다.

 

(4) 학생부 비교과 관리가 중요해졌다.

 

수시모집의 학생부 종합 전형은 선발인원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 특히 서울 소재 주요 대학들은 학생부 교과 전형보다는 학생부 종합 전형을 통하여 선발하는 인원이 상당히 많다. 학생부 비교과 관리는 수시를 지원하는데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다. 학생부 종합 전형에서 중요한 비교과는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활동들만이 반영된다. 공인외국어 성적이나 학교 밖에서 받은 경시대회 입상 경력은 전혀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학교생활을 통한 비교과 활동이 아주 중요해졌다.

 

(5) 논술고사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대학별고사로서 논술고사와 면접구술고사 및 적성검사는 수시모집에서 주로 활용한다. 수시모집에서 논술고사 시행 대학은 28개 대학이지만 서울 소재 대학들은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수시모집 일반전형에서 대부분 논술고사를 시행하고 그 비중도 당락을 좌우할 정도로 높을 것이다. 논술고사는 최근 들어 통합교과형에서 단일교과형 논술로 바뀌면서 평소 교과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자연계는 수리논술과 과학논술을 주로 시행하는데 최근에는 수리논술만 시행하는 대학들이 늘어나고 있다. 논술고사에서 영어 지문을 활용하는 대학들도 있다. 논술고사가 너무 어렵다는 비판에 따라 최근에는 제시문을 교과서나 EBS 교재에서 출제하는 대학도 많다.

 

 

(6) 수시와 정시를 동시에 대비해야 한다.

 

수시모집은 전체 정원의 약 69.9%를 선발하는데 전년도보다 다소 늘었다.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으로 갈수록 수시모집을 통하여 선발하는 비율은 여전히 높다. 수시에서는 최초합격자 뿐만 아니라 충원합격자도 반드시 등록을 해야 하고 몇 차례에 걸쳐 충원을 하기 때문에 수시에서 정시로 이월되는 인원도 대폭 줄어들었다. 따라서 수시 지원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필수가 되었고 수시모집에 대비하여 지원전략을 세우되 정시모집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된다. 평소에 수능 위주로 공부하되 수시모집에 대비하여 논술고사와 같은 대학별고사 준비를 일정한 시간을 할애하여 해야 한다. 수시모집에 지원하더라도 수능 공부는 열심히 해야 한다. 결국 수험생들은 수시, 정시 어느 하나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수시와 정시를 동시에 지원하는 전략을 세워서 준비해야 한다.